Good to Go

가벼운 시도의 반복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주길

자기계발(경영)

GA구축 가이드와 보고서 구성, 고객 유입 행동 적용해 분석해보기

on and on 2021. 11. 16. 11:08

주로 ios, 안드로이드 모바일 웹, PC웹 으로 되어있다

 

어떤 목적으로 GA를 사용하는가?

사업의 전략, 목표, kpi 설정, 봐야하는 주요 지표들을 함께 논의하고 이커머스인지 같이 고민

활용 방안, 목적, 니즈 파악 

 

 

계정에 따른 보기는 어떻게 만들 것인지?

GA3와 GA4을 함께 만들 것인지

속성과 보기는 어떤 구조로 가져갈 것인가?

이커머스/홈페이지/브랜드사이트/계열사들까지 구조를 어떻게 잡아야할지? 

 

 

이벤트 히트 (event hits)

클릭은 종류가 다양하다 / 버튼 클릭, 스크롤, 배너 등 

GA는 히트 맵이 없고, 텍스트랑 숫자로만 나온다.

** 그렇기에 어디가 많이 클릭되었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영역에 대한 네이밍을 잘 정의해야한다

ex) 글자에서 ABC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ABC버튼은 메인에도 있고, 상세페이지에도 있다면 파악이 어렵다. 매체별 영역별로 네이밍을 잘 정리해서 클릭을 잡아햐 한다.

 

*이벤트 히트 예시

비디오 재생/일시정지/정지 버튼 클릭 여부 및 로딩 재생 수
팝업 로딩, 위젯 상호작용
마우스 움직임, 페이지 스크롤
포스트, 기사, 비디오, 이미지 등 공유
파일 다운로드
플래시, 자바스크립트 등 컨텐츠 로딩

 

 

-> 이벤트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

https://winnietheworld.tistory.com/17

 

GA 이벤트, 페이지뷰와 순페이지 뷰, 이탈률과 종료율의 차이

페이지 뷰는 GA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페이지 뷰가 있는데 이벤트는 왜 필요할까? 페이지 뷰로는 데이터를 전부 수집하기 어렵다. 콘텐츠를 로딩할 때, 비디오를 재생할 때

winnietheworld.tistory.com

 

 

 

 

 

 

맞춤 측정 

 

GA에 페이지의 url, 사용자가 접속한 지역, 성별, 연령, 운영 체제 등의 다양한 정보가 있는데 GA가 알아서 수집하는 데이터 외에 나머지는 맞춤 측정 기준(custom dimensions)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ex)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홈페이지일 시 고객이 로그인을 했을 때 고객 등급, 로그인 여부, 로그인 유형(소셜, 내부 등), 임직원 여부, 성별, 고객 key(개인정보 이슈로 일련번호), 연령 등의 정보들을 GA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 추가적인 필드를 만들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맞춤 측정 기준이다

 

맞춤측정기준 (custom dimensions)

 

 

  • 히트 : 내가 보낸 필드값에만 저장
  • 세션 : 맨 마지막에 보내진 필드값이 세션을 다 덮어씌움
  • 유저 : 할당되기 전 앞에 세션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전송 이후의 값에서만 영향을 미친다
  • 제품 : 전자상거래에서 사용  

 

 

기획안 문서 작성

맞춤측정기준 지수 Scope 예시값 비고
로그인 여부 1 USER
(맨 마지막이 Y면 전체를 Y로 덮어씌우고 싶을 때)
Y/N Y : 로그인 상태일 경우
N : 비로그인 상태일 경우
  . HIT
(각각의 히트에다가 로그인 여부를 남기고 싶을 때)
. .
  . Session
(한번이라도 로그인 완료일 때 모두 Y값을 나타내고 싶은 경우)
. .
로그인은 보통 hit 아니면 session 으로 작성
기획전 명 2 HIT 11월할인대잔치 기획전 페이지일 경우 해당 페이지의 기획전 명을 보내주세요
기획전의 경우 하나의 페이지에서만 할당되어야하기 때문에 HIT
고객 등급
3 . 실버/골드 실버 : 실버회원일 경우
골드 : 골드회원일 경우
채널 구분 4 . 네이버/네이버sub .
채널 유형 5 . PC/MO/APP .

 

-> 구현 스크립트에는 '지수'와 '값'이 들어가기에 지수가 중요한 것

-> 반드시 애널리틱스에 맞춤 측정기준 생성 필요

 

 

맞춤캠페인을 위한 UTM태깅

기본적인 유입 경로 추적은 랜딩페이지 referrer 정보를 기준으로 추적

네이밍을 정의해서 뿌리는 것

캠페인 별 성과 측정 

https://ga-dev-tools.web.app/campaign-url-builder/

 

 

 

 

커머스(enhanced ecommerce)

제품의 브랜드, 카테고리, 색상, 옵션 별로 금액이 수집되기까지 구축 필요

구글 태그매니저로 컨트롤하는 기업들도 존재. 하지만 태그매니저는 화면 상에 보이는 것들만 캐치해서 수집. 원활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데모사례 & 블로그 데이터 적용

 

구글 데모에서의 실시간 콘텐츠에 들어가면 사용중인 페이지가 순위별로 나타난다.

이때 페이지 네이밍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시 헷갈리는 문제 발생  

 

 

행동 : 고객이 우리 사이트와서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것

행동 흐름에 따라 고객의 페이지 depth를 알 수 있다. 

 

 

내 티스토리 블로그 ID를 애널리틱스에 적용해 지난 일주일 간의 콘텐츠를 방문한 사람들을 찾아보았다

따로 광고를 돌리지 않았기에 모든 소스/매체는 direct/none으로 표시

대략 10초 가량 읽고 나간 사람들이 많다.

 

아직 콘텐츠 마케팅과 영감과 생각노트 부분을 활발히 업데이트 못하다보니

exit요소에 딱 걸려버린 ㅠㅠㅠ 네이버 블로그와도 연결시켜 하나씩 업데이트 해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