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to Go

가벼운 시도의 반복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주길

자기계발(경영)

GA 보고서 흐름과 유저와 세션의 중요성, 의미

on and on 2021. 11. 15. 16:32

 

우리 사이트의 고객은 누구고, 어떻게 들어왔고, 들어와서 무엇을 했으며 어떻게 value를 창출했는가

audience, acquisition, behavior, conversion

 

measurement protocol 방식

뒤에다가 parameter을 달아서 데이터를 보낸다

보내게 되면 수집이 되고, 가공이 된 후 real data 확인 가능

 

t - hit의 변수를 나타내는 것

tid - UA에 대한 주소값

다른 쪽에 데이터가 쌓이면 안됨

 

스니펫은 웹/앱 환경에 넣는 자바스크립트 언어다

웹이 아닌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 install program(응용 프로그램) 만들었을 때는 measurement protocol만 맞춰서 하면 된다. 키오스크 & 응용프로그램 전부 데이터 수집 가능하다.

 

pageview hits 

event hits

ecommerce hits

social interaction hits

 

GA를 빅쿼리로 연동해서 데이터를 적재하면 raw data를 확인할 수 있다

전송방식은 head script에 삽입하는 방법과 GTM(구글 태그매니저) 활용해 스크립트 반영없이 태그를 생성, 삭제, 변경이 가능하다.

 


Dimensions & Metric (기준 & 지표)

모든 것은 Dimension (기준 - 소스/매체)를 기준으로 획득, 동작(행동), 전환 데이터가 나타난다.

 

Dimensions : 데이터의 특징이나 성질을 묘사 

ex) 국가, 도시, 브라우저 언어, 소스, 페이지 url, 페이지 제목 등

Metrics : 데이터의 정량적 요소

ex) 세션 수, 사용자 수, 페이지 뷰, 이탈율, 전환률 등 

 

 

 

USER

 

여기서 UA의 '사용자 수'는 쿠키에 있는 '클라이언트 ID' 로 계산

ID의 경우 중복은 자동으로 제거, 다만, 각 쿠키는 브라우저의 제제를 받고 있다는 점!

ex. 오전에는 크롬 쿠키, 오후에는 익스플로어 쿠키를 사용할 시 유저 수가 2개가 되는 것이다. 

(둘 ID는 다르다. 그렇기에 유저 수가 2가 된다)

 

GA4는 유저 카운팅에 다양한 방법 사용

디바이스 아이디, 유저 아이디, 구글 시그널(gmail, 크롬계정정보) 사용 

 

예전에는 user = unique visitor (중복값 제거)

다만, 주기적으로 쿠키를 삭제할 시 계속 신규 방문자로 남는다 (쿠키 민감해서 삭제하는 고객의 경우)

 

 

SESSION

 

시작과 끝이 있다.

랜딩했을 때의 시작, exit했을 때의 끝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1- 기본 30분에 한 번 세션이 분리된다

예를 들어, 9시에 사이트 메인페이지에 방문, 9시 5분에 두번째 페이지 보았다. 9시 40분에 세번째 페이지를 보았다면 세션이 두 개로 분리된다. 35분의 텀이 생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9시에 사이트 메인페이지 방문, 9시 5분 두번째 페이지, 9시 30분에 세번째 페이지, 9시 45분에 네번째 페이지일 시 텀이 30분이 아니기 때문에 세션은 하나다. 

 

중간에 텀이 없으면 하나의 세션으로 이어진다. 

ex1) 영국에 랜딩, 다른 나라들 들렸다가 한국 오면 "여행은 한 번! 하나의 여행을 이야기한다"

 

2- 유입이 바뀌어도 세션이 끊긴다. (트래픽 소스가 바뀌었을 때)

페이스북 통해서 클릭하고,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30분 이전에 인스타그램/유튜브를 통해 배너를 클릭해서 들어갈 시 세션 1, 세션 2로 나뉜다. 유입 소스가 바뀌면 세션이 중간에 분리된다.

 

3- 저녁 12시에 세션이 한 번 더 나뉜다

 

 

*** 세션을 중심으로 전환율과 이탈률이 어떤지 고민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