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비즈니스 데이터
비즈니스
- 거래 : 고객에게 상품,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반대급부인 이익을 얻음
- 거래 대상에 따라 크게 B2B와 B2C로 구분
B2B 상대적으로 규모는 크고 빈도는 적음 - 원자재/부품 구매 데이터 - 서비스 판매/계약 데이터 - 생산 공정 데이터 등 |
B2C 고객 수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고 복잡함 - 고객 신상 데이터 - 주문/결제 데이터 오프라인 매장, 앱 등 채널 이용 데이터에 관심 (현황 파악, AB테스트 등 데이터를 활용한 개선) |
제조업 - 유통업 - 이커머스업 - 콘텐츠업 - 금융업
제조업 데이터
- 공장에서 손으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을 생산
- 원재료/원자재 구입, 제품 생산, 유통사로 판매 과정에서 데이터 생산
구매 및 판매 데이터
시장 환경의 영향이 커서 분석 및 활용 불가능
- 정유사 : 국제 유가 예측 불가능 (원유)
- 판매 : 짧아진 생산 변화 주기 및 경쟁사 대응을 위해 각 판매 건별 전략 수립 필요
(새로운 기술 도입, 신상품 제작, 경쟁사의 다른 대응 등)
리서치를 통한 시장 동향 파악 및 최근 단기 데이터 활용 필요
= 주로 제품 생산 공정에 관심이 많다.
유통업 데이터
- 제조사의 제품 등이 최종 고객에게 전달될 때까지 중간 전달자 역할
다양한 채널을 활용
삼성전자/LG전자의 가전판매 채널;
직영 매장, 백화점/ 마트 등 오프라인, 홈쇼핑/온라인 쇼핑몰
- 도매(wholesale)와 소매(retail)로 구분
- 유통 상품 선정과 재고 관리 등이 중요 : 창고 비용 등 고려
유통 데이터의 활용
- 상품의 매입, 보관, 판매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
- 재고 관리
- 창고 호율화
- 오프라인 매장 관리
유통 데이터의 활용
- 온라인 채널 중심 산업 재편
- 오픈 마켓 기존 이커머스 업체들과 경쟁
이커머스업 데이터
- 홈페이지, 모바일 웹/앱 등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유통업
- 기존 오프라인 중심 유통업에 비해 시간과 공간 제약에서 자유로움
: 복수의 페이지를 활용해 더 많은 상품 노출 가능
디지털 채널을 통한 데이터 수집 가능
- 매출 데이터 : 고객의 상품 구매 데이터
- 로그 데이터 : 클릭 등 고객 행동의 기록
(결제데이터 & 로그데이터 & 채널관리)
콘텐츠업 데이터
- 온라인 채널에서 콘텐츠를 제공
: 이커머스의 판매 제품과 달리 손에 잡히지 않고 감각을 활용한 소비
- 과거 오프라인, 로컬, 단방향에서 변화
: 온라인 채널 활용
: 단방향 전파 수신이 아닌 양방향 통신 수신
-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로그 데이터 수집
- 콘텐츠 큐레이션
- 채널의 관리
금융업 데이터
- 주요 금융사
은행 : 예금 등 수신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대출 등 여신 제공
보험 : 보험계약을 통한 보험료 수취 후 보험금 지급
카드 : 카드 결제, 현금 서비스 등 여신 제공 및 가맹점 수수료 수취
-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 활용 역량
: 비즈니스의 특성상 거래 데이터 활용이 필수적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 : 파이썬 개요 (0) | 2022.04.16 |
---|---|
빅데이터 마케팅 3 : DT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디지털 기술과 마음가짐 (0) | 2022.04.16 |
빅데이터 마케팅 1 (비즈니스 데이터의 생성) (1) | 2022.04.11 |
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광고 (네이버 GFA) (0) | 2022.03.12 |
구글 애즈 동영상 자격증 공부 3 (유튜브 광고소재 기본사항, 액션유도 솔루션 이해하기) (1)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