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소유효시장을 찿아서
좋은 고객은 다른 고객을 데려온다.
ex) 팩스기 - 상대도 팩스기를 가지고 있으면 더 좋기 때문
my opinion ) 카카오톡도 상대가 가지고 있으면 더 좋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던 비즈니스 모델이 아닐까
*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고립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주위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하고 싶게 만들어야 성장의 동력이 된다.
성장은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고, 가치는 더 큰 성장으로 이어진다.
- 진정한 팬이 필요하다
진정한 팬은 당신이 만드는 모든 것을 사는 사람으로
혼자 저작물을 창작하는 사람들은 1,000명의 진정한 팬만 있어도 먹고살기에 충분하다.
그들은 당신의 작업을 소중히 여길 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소개도 할 것
사람들은 왜 당신을 선택하지 않을까?
그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째서 나를, 우리 서비스와 제품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옳은 결정일까?
"당신이 원하는 ( )을 원하고, 당신이 믿는 ( )을 믿는 사람들에게 ( )에 대한 당신의 선택은 옳다"
모두가 언제나 내면의 내러티브에 따라 행동하기 떄문에
우리는 거의 대부분 변화를 일으키는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한다.
ex)
귀뚜라미를 먹어본적이 있는가?
귀뚜라미 가루라도 먹어본 적이 있는가?
여러 지역에서 귀뚜라미는 뛰어난 단백질 공급원으로 소비되고 있다.
소고기, 목축은 가장 쉽게 언급되는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
사실상 음식을 확보하는데 비효율적인 수단 중 하나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귀뚜라미 대신 소고기를 최근 더 자주, 많이 먹었을 것
어떤 것은 먹고, 먹지 말아야할 명확하고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면
우리는 왜 소고기를 좋아하고, 귀뚜라미는 꺼리는 걸까??
우리가 그러기 때문이다.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신경쓰지 않는 사람들은 없다.
우리는 문화 그 자체를 바꿀 수 없다.
그러나 문화의 일부, 주어진 세상에서 어떤 작은 구석을 바꿀 수는 있다.
최소유효 시장은 가능하다.
문화를 바꿀 가능성을 극대화한다.
시장은 당신을 일으키려는 변화로 풍요로워지고, 연결되며, 시장의 다음 층위와 유기적으로 이야기를 공유한다.
그리고 확산이 이뤄진다.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늘어난다.
마케터는 변화를 일으킨다.
그 방법은 새로운 행동을 일반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더 이상 모든 사람이 아니다.
변화를 일으킬 때 롱테일은 더 이상 모든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저 충분한 사람이면 된다.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THIS IS MARKETING 마케팅이다 / 세스고딘 #1 (0) | 2022.03.03 |
---|---|
[book] 필립 코틀러의 마케팅 수업 : 마케팅 개요와 디지털 마케팅 (0) | 2022.02.13 |
2021년 LG 유플러스의 WHY NOT? 공감되고, 인상깊은 통신사 광고 (0) | 2021.12.08 |
메타버스는 나노의 세계, 음악과 과학 그리고 광고와 마케터 (0) | 2021.12.02 |
메타버스 뮤직뱅크에 접목, 광고를 넘어 방송까지 넘보나?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