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R = marketing PR
: 마케팅 수단으로서 PR로 판매를 지원할 목적으로 다양한 PR 프로그램들을 활용
-- '표적 소비자'에 초점을 두고, 판매지원의 수단으로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 (확장된 PR활동)
CPR = Coporate public relations
:광의의 개념으로서 PR로 기업의 다양한 공중들과 상호 호혜적 관계 형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 PR에 있는 다양한 소비자들 (고객, 공급업자, 투자자, 지역사회, 금융기관, 정부, 언론, 경쟁사, 내부공중)
- 기업에서는 다양한 공중들과 이슈, 위기관리를 다루는데 PR에서는 기업의 특정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관리를 MPR이라고 한다.
- 기업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주거나 사용하는건 "MPR"
- 언론 "Publicity" /투자자 "IR" /내부공중 "직원관리" 등 ...
마케팅에서 보는 PR
마케팅에는 통제불가능 요인과 통제가능한 요인이 있다.
통제 가능한 요인 - 인사/재무 - 마케팅 믹스(4P's)
(1) 제품 product (2) 촉진 promote(광고, PR, 판촉, 인적판매, DM), (3) 가격 price, (4) 유통 place
통제 불가능한 요인은 상대적으로 덜 신경쓴다.
그렇다면 마케팅, 왜 PR과 접목되었을까?
마케팅에서는 pr의 일부분, PR에서는 마케팅이 일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 일환으로 'MPR' 용어는 PR 중 일부분인 마케팅을 뜻한다. 이유가 무엇인가?
PR은 평판관리, 위기관리, 이슈관리다. 왜 마켓을 마케팅으로 만드는가? 거래나 주고 받는 것들이 일어나야 이익 증대. 지금 PR이라고 하는게 평판/위기/이슈만 하다보니깐 PR이 그걸로 다인가? 하는 고민이 있다.
그렇다보니깐 PR에서도 매출과 이익증대를 신경써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마케팅을 도입한 것.
PR :
기업이 목적 달성을 위해 의존해야 하는 다양한 공중들로부터 공감을 얻어 우호적 경영환경을 조성하는 것
(평판/위기/이슈관리) : 제품/브랜드가 아닌 기업 전체를 고려
Marketing:
고객을 만족시킴으로써 이윤을 획득하는 것. 마케팅은 기업의 여러 공중 가운데 소비자에 초점을 맞춰, 그들의 욕구를 조사하고, 시장을 관리해 수익을 얻는 경영활동이다. : 특정 제품/브랜드를 고려
PR에서도 markeing개념 이도입되어 영양가 되는 PR활동이 되는 것.
MPR 사례 (매출증가 - 마케팅 목표)
○ 베이컨 회사로부터 매출 증진을 위한 캠페인 의뢰
(1) 우유와 시리얼 (2) 베이컨과 달걀 : 상품화
베이컨과 달걀을 광고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영양사' 인터뷰 기사를 접했을 때의 광고 효과
"아침식사를 든든하게 먹는 것이 두뇌를 활성화하고 하루를 버티는 활력이 된다"
- 광고 하나 없이 공신력 있는 전문가 인터뷰 내용
- 베이컨 회사가 아닌 '베이컨' 제품 강조
= 평판만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매출증가도 시킨다.
○ 나이키 경쟁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매출 증진 캠페인
나이키 경쟁자 ▶ 아디다스, 리복 (다른 스포츠 용품이 xx)
= 동종업계의 브랜드 경쟁이 아니다.
▷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에 몰두하는 시간) 햄버거 회사
Competition within a product = 제품 간의 경쟁으로 보아야한다.
: 어릴 때 운동효과? 정형외과 의사, 스포츠 트레이너 등의 인터뷰 기사 내보냄
MPR의 등장과 성장배경
1) 대중시장의 분화 (segmentation)
- 같은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타겟에 따라 시장이 분화된다.
2)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
- 위성/케이블TV, 인터넷, IPTV, DMB, 스마트폰 등 매체 등장
3) 마케팅 경쟁의 심화
-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전략 필요성 대두
마케팅은 커뮤니케이션의 조건
4) TV광고의 영향력 감소
- 채널회피(zapping)
(1) 물리적 회피: 화장실, 전화 등
(2) 인지적 회피: 주목회피
- 1편당 광고시간의 단축 :: 광고량 증가
MPR 프로그램들
1) 제품 퍼블리시티
-기업 자체와 관련된 내용을 퍼블리시티하면 CPR활동,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에 관한 내용을 퍼블리시티하면 MPR.
신제품, 좋은 실적, 수출 실적 등은 제품/브랜드의 우수성을 보여줌
게이트 키퍼, 어젠더 세팅, 프레이밍
- 뉴스와이어 : 보도자료의 집합소/ 보도자료들을 유통시키는 곳 /기자 출입처 존재
2) PPL (Product Placement)
- 영화나 TV프로그램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콘텐츠 중간에 제시되어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주인공으로부터 이미지 전이가 되는데 국니 TV에서는 과거에 금지되었던 적이 있다.
3) 스페셜 이벤트
(1) 전시회(exhibition)/박람회(EXPO)/ 신상품 발표회
: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특별 장소에 제시하고 보여주는 행사. 패션쇼나 모터쇼 등이 전시회의 사례
(2) 경연
: 기업이 경연을 개최하는 것도 기업과 브랜드를 알리는 기회
(3) 시상식 및 수상
: 특정 제품이 시상식에 참여하거나 수상을 하는 것도 중요한 이벤트
(4) 판촉 이벤트
: 기업이 자금회전이 되지 않을 때,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의 판매량을 단기간에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이벤트, 가격할인, 쿠폰증정, 샘플배포, 프리미엄사용, 경품추천, 환불 등의 판촉 프로그램 활용
(5) 로드쇼
: 직접 거리로 나가 다양한 행사를 통해 제품/브랜드 알림
(6) 지역 이벤트
: 지역 주민들과 지역을 재인식시키고, 특산물 판매를 통해 이익 실현
(관광개발, 토산품 개발 및 판촉, 민속놀이 및 전통문화 계승, 예술 행사, 스포츠 행사 유치, 지역축제)
(4) Day Marketing
: 특정 기념일이나 주간, 달 등을 이용해 그 기간 동안 각종 행사나 이벤트로 제품/서비스 인지도와 판매를 제고하고 언론의 관심을 유도한다.
(5) 견학
: 소비자, 투자자, 해외 딜러나 바이어, 기자들을 대상으로 견학 실시
(6) 공동마케팅
: 다른 기업들이 그들의 제품/서비스 판매촉진과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공동으로 프로모션 활동/홍보활동 펼치ㅡㄴ 것
(7) 게릴라 마케팅
: 치고빠지기식 마케팅 (노출범위 좁음 하지만 호기심/바이럴 효과 큼)
(8) 그랜드 오프닝 = 개업식
새로운 호텔, 레스토랑, 테마공원 매장, 가게 등을 개업할 때, 고객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한 grand opening 행사를 실시
(9) Media Tour
지방 도시들의 언론매체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거나 설명하기 위해 기업을 대표하는 대변인으로 경영진, 관련 전문가, 유명인사 등이 전국을 순회하며 언론매체 방문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상 깊은 광고 콘텐츠 : 진실을 향한 뉴욕 타임즈 / 자유를 꿈꾸는 버버리 (0) | 2021.11.29 |
---|---|
플랫폼 비즈니스와 네트워크 효과, 배달의 민족 브랜드 초기 고객 형성 (0) | 2021.11.29 |
내가 뽑은 좋은 콘텐츠들과 정의, 넷플릭스와 버거킹 사례에서 (2) | 2021.11.17 |
소비자의 눈으로 보는 광고전략모델, JWT의 T-plan (0) | 2021.11.17 |
CSR이 무엇인가요? CSR활동 유형 [공익캠페인, 공익연계마케팅(CRM), 사회공헌활동, 지역사회자원봉사] 용어와 사례 보기 (4)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