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널리틱스 맞춤보고서 만들기
우리 홈페이지에 맞는 정교한 분석을 고민한다면 맞춤보고서를 활용하기 좋다
예제 (가정) : 맞춤보고서 탐색기 유형 |
ex) 사람들이 우리 홈페이지를 몇 요일에 가장 많이 방문하나요? |
![]() |
측정기준(dimension) : 요일 이름 (200가지의 기준들이 있음) |
측정항목(metrics) : 사람들이 언제 가장 많이 방문하는지 → 사용자, 세션 |
+depth : 심도있게 바라본 버전 |
측정항목(metrics) : 사용자, 세션, 신규방문자, 이탈률, 평균세션시간, 세션당 페이지뷰 수(들어와서 몇페이지 보고 나갔는지), 거래 수, 수익, 전자상거래 전환율 ... |
측정기준(dimension) : 요일, 시간, 소스/매체(어떤 경로로 들어왔는지) → 시간의 경우 특정요일 클릭해 그 안의 항목 당 시간 확인 가능 → 소스/매체 역시 특정 요일, 특정 시간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들어온 경로로 확인 가능 |
on&on 내 티스토리에도 맞춤보고서를 접목해 보았다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기에 언제 얼마나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지사용자의 흐름을 보는게 더욱 중요했다.
이렇게 기준(dimension)과 항목(metrics)를 나눠보았고, 이전 예제와 다르게 사용자 유형을 적어보았는데 저 부분이 흥미롭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일주일치로 했을 때 목,금의 사용자 수가 가장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고 이탈률은 매우 높군 ㅎㅎㅎ
역시 조금씩 꾸준히 올리는게 좋은 것 같다
시간에 큰 차이는 없고 다만 10시에 들어온 사람이 시간을 꽤 들여서 읽고 가셨다.
2분 30초!!
그 분은 다음 서치로 읽고가셨군ㅎㅎ
데이터가 쌓여 자유자재로 활용하다보면 콘텐츠 내용을 넘어 언제 콘텐츠를 업로드할 지 몇 요일날 가장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지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도 할 수 있지 않을까?
구글 데모처럼 많은 양의 데이터가 쌓이는 그날까지~
플랫표의 경우 엑셀처럼 표가 나오는 형태로 탐색기와 측정 기준/항목 입력하는 방법은 똑같고 탐색기와 플랫표 두 가지 유형을 보고싶다면 보고서 탭 + 이름 추가해서 확인하면 된다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맞춤보고서 정규식, 정규표현식 예시와 방법 (0) | 2021.11.22 |
---|---|
GA 맞춤보고서 방문자 분포 분석예시와 방법 (0) | 2021.11.20 |
GA 캠페인 유지 기간과 변경의 이유, 기간이 갖는 의미 (0) | 2021.11.18 |
보기 필터와 test view, raw data view, master view의 중요성 (0) | 2021.11.17 |
맞춤 캠페인 제작과 GA추적, UTM 예시, 검색광고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