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to Go

가벼운 시도의 반복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주길

자기계발(경영)

GA 맞춤보고서 탐색기/플랫표 유형 만들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on and on 2021. 11. 20. 14:21

구글애널리틱스 맞춤보고서 만들기

우리 홈페이지에 맞는 정교한 분석을 고민한다면 맞춤보고서를 활용하기 좋다

 

 

예제 (가정) : 맞춤보고서 탐색기 유형
ex) 사람들이 우리 홈페이지를 몇 요일 가장 많이 방문하나요?

측정기준(dimension) : 요일 이름 (200가지의 기준들이 있음)

측정항목(metrics) : 사람들이 언제 가장 많이 방문하는지 → 사용자, 세션

+depth : 심도있게 바라본 버전

측정항목(metrics) : 사용자, 세션, 신규방문자, 이탈률, 평균세션시간, 세션당 페이지뷰 수(들어와서 몇페이지 보고 나갔는지), 거래 수, 수익, 전자상거래 전환율 ... 

측정기준(dimension) : 요일, 시간, 소스/매체(어떤 경로로 들어왔는지)

→ 시간의 경우 특정요일 클릭해 그 안의 항목 당 시간 확인 가능
→ 소스/매체 역시 특정 요일, 특정 시간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들어온 경로로 확인 가능

 

 


 

on&on 내 티스토리에도 맞춤보고서를 접목해 보았다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기에 언제 얼마나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지사용자의 흐름을 보는게 더욱 중요했다.

 

 

이렇게 기준(dimension)과 항목(metrics)를 나눠보았고, 이전 예제와 다르게 사용자 유형을 적어보았는데 저 부분이 흥미롭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일주일치로 했을 때 목,금의 사용자 수가 가장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고 이탈률은 매우 높군 ㅎㅎㅎ

역시 조금씩 꾸준히 올리는게 좋은 것 같다

 

 

시간에 큰 차이는 없고 다만 10시에 들어온 사람이 시간을 꽤 들여서 읽고 가셨다. 

2분 30초!!

 

 

그 분은 다음 서치로 읽고가셨군ㅎㅎ

 

데이터가 쌓여 자유자재로 활용하다보면 콘텐츠 내용을 넘어 언제 콘텐츠를 업로드할 지 몇 요일날 가장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지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도 할 수 있지 않을까?

 

구글 데모처럼 많은 양의 데이터가 쌓이는 그날까지~

 


플랫표의 경우 엑셀처럼 표가 나오는 형태로 탐색기와 측정 기준/항목 입력하는 방법은 똑같고 탐색기와 플랫표 두 가지 유형을 보고싶다면 보고서 탭 + 이름 추가해서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