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자 분포는 이전 탐색기와 플랫표 유형처럼 다양한 기준을 설정하는데 제약이 있다
확대/축소 수준에서 세계, 대륙, 국가 등 분석목표에 맞는 위치 선택 후 아래 측정 기준을 설정한다.
내 티스토리는 한국어로 적은 글들이 많으니 국가 → 한국을 선택했고, 아래 항목은 사용자가 얼마나 들어왔는지의 사용자/세션을 선택하니 아래 결과가 나왔다.
서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차례로 인천, 울산, 경기도 등 어느 지역의 사람들이 내 블로그를 많이 방문했는지 알 수 있었고, 도시로 넘어가면 김제시에 거주하는 아무개님도 내 블로그를 방문하셨음을 알 수있었다 :) (감사합니다🙌)
GA는 원론적으로 위치를 IP(internet protocol)기반으로 파악한다.
여기서 IP는 인터넷에 연결시켜주는 각 장치들의 주소이자 통신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IP는 컴퓨터나 핸드폰의 주소로 인터넷 연결을 하고, 연결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GA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구조로 이뤄지고 있다.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맞춤보고서 실습 예제 1, 측정 기준과 항목 이해하기 (0) | 2021.11.24 |
---|---|
GA 맞춤보고서 정규식, 정규표현식 예시와 방법 (0) | 2021.11.22 |
GA 맞춤보고서 탐색기/플랫표 유형 만들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1.11.20 |
GA 캠페인 유지 기간과 변경의 이유, 기간이 갖는 의미 (1) | 2021.11.18 |
보기 필터와 test view, raw data view, master view의 중요성 (0) | 202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