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롤 (Scroll)
고객이 페이지에 어느정도까지 내려갔는지, 데이터를 확인했는지 알 수 있는 것
스크롤 데이터를 보낼 때
Tags (데이터를 GA로 보낸다) : 데이터 목적지
⬇
Triggers (스크롤의 일정 비율만큼 내릴 때마다) : 데이터 전송 타이밍
⬇
Variables (메인 페이지, 스크롤 위치...) : 해당 페이지의 정보들
태그를 생성할 때 보내려는 '페이지 뷰' 이 외의 데이터들,
고객의 행동은 모두 '이벤트'로 들어간다.
카테고리 | 액션 | 라벨 |
scroll | 페이지 url | 비율 30%, 60%, 90%, 100% - 트리거 설정 |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이 되어있지 않는다면
관리 ➡ 추적설정 ➡ 추적아이디 복사 진행
트리거 설정 후 태그로 돌아와서 라벨을 나머지 적어준다.
scroll depth 라벨의 경우 scroll depth threshold가 비율을 보여주기에 기본측정 플러스를 눌러 활용시킨다.
디버깅을 시켜 스크롤을 내려 event가 나가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30%의 스크롤이 내려갔다는 것을 확인 가능
** 주의할 점은 스크롤 태깅을 따는 것은 괜찮은데 스크롤 태깅을 빈번하게 따면 히트 수가 많아져 금방 찰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비 상호작용 조회'는 거짓 아니면 참으로 된다.
'참'인 경우 이탈률이 줄어든다.
히트가 계속 전송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클릭하는 것보다 높아진다.
상호작용이 안되는 것으로 빼고 싶다 하면 '참'을 선택하면 된다.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옵티마이즈 Google Optimize, A/B테스트 분석 방법 (0) | 2021.12.10 |
---|---|
구글 파이어베이스 개요와 기능 Google Firebase analytics (0) | 2021.12.09 |
[GAIQ] Advanced Google Analytics Certification (0) | 2021.12.07 |
GTM 구글태그매니저 GA4와 연동 태그로 추적하기 (0) | 2021.12.07 |
GTM 구글태그매니저 이벤트 전송하기2 콘텐츠 명과 LNB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