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옵티마이즈는 A/B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툴
A/B 테스트는 무엇인가?
A와 B중에 고객이 선호하는 웹 페이지는 무엇일까?
혹시 쉽게 테스트 할 수는 없을까?
A안과 B안이 있다.
A안을 통해서 들어온 사용자들, B안을 통해서 들어온 사용자들이 전환율이 어떻게 높게 측정되는지
결국, 최적의 전환율을 찾는 것
A/B 테스트는 빠른 프로토 타입에 대한 검증과 최적의 개선안을 찾기위한 실험
→ 이벤트 페이지 (특정한 팝업, 스팟성의 프로모션)
문제점을 알지만 최적의 개선안을 알지 못한다.
최적의 개선안을 찾기위해 오랜 분석 필요하다. (리뉴얼 하는 시간이 오래 걸림)
어떤 최적안이 최고인지 알지 못한다.
감으로는 알 것 같지만, 수치로 증명하지 못한다.
(행동 흐름 과정, 배너 위치, 폰트 조절 등의 의사결정)
↓
여러 대안을 비교하고 최적안을 찾는다.
빠른 실험을 통해 직접 검증한다.
수치로 증명한다.
A/B테스트를 할 때 분석이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그러기에 앞서 웹사이트에 대한 특성, 현황을 파악해야한다.
방문자 분석 | 순 방문자 수(신규) vs 재방문자 수 |
페이지 트래픽 분석 | 기존 평균성과 비교 시간대 분석 과거 동일기간과 비교 주/월/분기별 통계 비교 |
마케팅 채널 분석 | 방문율이 높은 마케팅 채널 분석 (방문율/이탈율/전환율 등) 검색엔진 별 검색어 상세 분석 마케팅 전후 비교 추이 분석 ex) 사용자 굉장히 많이 유입, 하지만 유입 대비 이탈이 높다. 그리고 다른 채널에 비해서 전환율이 낮은 경우, 행동 관점으로 보았을 때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실험 진행 필요 |
네비게이션 분석(이동경로) | 고객들의 페이지 이동성향 분석 메뉴 별 이동성향파악 |
페이지 상세 분석 | 많이 조회한 페이지 분석 주요 시작(랜딩)페이지 파악 |
세분화 분석 | 회원/비회원 분석 인구통계학 (나이/성별/지리 등) 로그인 횟수 회원 가입/ 해지 분석 |
전환 시나리오 분석 | 이벤트, 기획 의도에 맞는 방문객 이동성 파악 성취율 분석 및 단계별 이탈율 분석 잘못된 기획/마케팅에 따른 방문개그의 이탈율 최소화 ex) 회원가입 루트, 특정한 구매 단계에서 상품 상세의 시나리오가 있을 때 이탈이 왜 많이 되는지 분석 진행 |
웹 페이지의 테스트 대상
Optimize | |
탐색 | 문구/외형/순서/디자인 하위탐색기능 vs 불가 |
검색 | 검색창 위치/디자인/크기 고급검색기능 vs 불가 새 창 vs 현재 창 |
양식 | 문구/디자인/단계 표시 한페이지 vs 여러 페이지 |
양식 | 크기/색상/문구/위치 3D vs 평면 (디자인적인 요소) |
대화상자 (ex. 챗봇) |
디자인/색상/버튼/크기 모달 vs 모달리스 |
대화상자 | 유무/자동재생/음성볼륨 자동음성 vs 클릭 후 음성재생 |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옵티마이즈 툴과 개요 (0) | 2021.12.13 |
---|---|
Google Opitimize 구글 옵티마이즈 A/B테스트 사례 및 확인 사항 (0) | 2021.12.10 |
구글 파이어베이스 개요와 기능 Google Firebase analytics (0) | 2021.12.09 |
GTM 구글 태그매니저 스크롤 데이터 수집 (0) | 2021.12.07 |
[GAIQ] Advanced Google Analytics Certification (0) | 2021.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