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내가 매체를 organic, 자연 검색으로 온 사람들의 데이터를 뽑아보고 싶다면
획득 → 소스/매체로 가서 매체 확인 후에 위와 같이 작성해 데이터를 추출가능하다.
가끔 (direct/none) 결과치가 소스/매체에 찍힐 경우가 있다.
A | B | C |
네이버 | 페이스북 | 네이버 |
다음 | 네이버 | 트위터 |
구글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네이버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
A, B, C 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 필터링'으로 했기에 모든 경로가 찍힌다.
여기서 A, B, C 는 client ID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 값)
세션 | |
네이버 | 3 |
다음 | 1 |
구글 | 1 |
페이스북 | 1 |
인스타그램 | 1 |
트위터 | 1 |
유튜브 | 1 |
그렇다면 "네이버" 값만 어떻게 뽑을 수 있을까
사용자 필터링을 진행하면 된다.
조건을 줄 때 세션 수로 줄 지, 사용자로 줄 지 고민 후에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구글, 인스타그램, 유튜브로 각각 거래 수를 추가했을 때
A | B | C |
네이버 | 페이스북 | 네이버 |
다음 | 네이버 | 트위터 |
구글(1) | 인스타그램(1) | 유튜브(1) |
사용자 기준으로 거래 수는 3건, 세션 기준으로는 0건이다.
중복되는 수가 없으니 말이이다.
행동 → 거래수는 방문/거래 빈도를 사용자로 분류하는데
막상 거래 수를 클릭해보았을 때 사용자당, 세션당, 조회당으로 다시 분류가 가능하다.
조건이 아래와 같을 때
A | B | C |
1 | 2 | 0 |
1 | 1 | 0 |
1 | 0 | 3 |
▶ 사용자 당 거래수 3회 이상의 사용자는 A, B, C 다.
A, B, C 모두 거래 수가 3이기 때문이다.
▶ 세션 당 거래수 3회 이상의 사용자는 C 다.
한 번의 방문에서 거래를 3회 이상 발생시킨 사용자를 추출하면 된다.
▶ 조회 당 거래수는
한 번 GA를 데이터로 보낼 때 보낼 수 있는 거래 수의 최대 양을 말하는데
없거나 한 번이기 때문에 값은 1 아니면 0 을 적용할 수 있다.
= 세션은 상호작용의 집합이다.
'자기계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조건세그먼트, 세션 수, 필터 예시 (0) | 2021.11.25 |
---|---|
GA분석 세그먼트 전자상거래 (1) | 2021.11.25 |
GA 분석 세그먼트 예시 세션 파트,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 첫번째 세션 날짜 (0) | 2021.11.25 |
GA 분석 구글애널리틱스 세그먼트 의미, 예시와 방법까지 (0) | 2021.11.24 |
GA 맞춤보고서 실습 예제 2, 페이지와 전자상거래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