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경영)

GA 분석 세그먼트 예시 세션 파트,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 첫번째 세션 날짜

on and on 2021. 11. 25. 11:02

 

 

 

고객의 성별, 나이 뿐만이 아닌 세션 별로도 고객 측정이 가능하다.

아래에 있는 예시는 인구통계 예시로 연령, 성별, 언어별로 고객을 측정할 수 있고,

 

 

 

 

 

 

행동으로 들어가 세션 파트에 부등호를 활용해 "5회 이상 방문 사용자" 수식을 걸어보았다.

 

 

 

 

위와 같은 상황이 되면 내 블로그에 5회 이상 방문한 사람들의 수를 알 수 있을 것이고

 

 

 

 

 

여기,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도 확인이 가능하다.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조회 기간이 10월 1일~20일 경우

A라는 사람이 10월 5일에 들어왔다가 10월 15일날 다시 들어왔다.

 

날짜 10월 5일 10월 15일
방문 1 1

 

여기서 A의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는 얼마일까?

 

보통 10월 20- 10월 15 = 5일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답은 10일이다

 

 

 

마지막 세션 이후의 dimension은 사용자의 마지막 세션부터 다시 방문 세션까지의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마지막 세션은 10월 5일, 그리고 다시 방문은 15일이니 

10월 15일 - 5일 = 10일이 A의 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 일수다.

 

"사용자 기준의 날짜를 재는 것"

 

 

 

 

 

다른 예시로 9월 15일날 들어왔다가 10월 15일날 다시 들어왔다면 어떨까?

10월 15일 - 9월 15일 해서 30일 이라고 적고 싶은데 

 

날짜 9월 15일 10월 15일
방문 1 1

 

문제는 9월 15일이 조회기간 (10월 10~20일) 안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래서 못넣을 것 같은데 답은 30일로 넣어도 된다.

왜냐하면 어쨌든 A가 10월 15일날 조회 기간 안에 들어왔다.

 

그랬을 때 이 사람의 마지막 방문일이 조회 기간 안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가져다가 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세션 날짜는 고객이 우리 홈페이지에 최초로 들어온 날짜를 적는 것

 

 

 

 

 

 

 

이런 데이터가 나왔다면 18일에 최초로 들어온 방문자가 많았고, 나머지 일수에는 재방문자가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