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 맞춤보고서 실습 예제 2, 페이지와 전자상거래
#1 상위 노출 페이지 분석
(1) 지난 한 달 동안 어떤 페이지를 가장 많이 확인하였는가?
(2) "GA" 페이지 중 가장 많이 확인한 페이지는 무엇인가?
측정 기준 : 페이지(url), 페이지 제목(document title)
측정 항목 : 페이비뷰 수 , 순 페이지뷰 수, 평균 페이지에 머문 시간, 방문수, 이탈률, 종료율(%)
어떤 항목을 사용할 지 알아보고 싶다면 (행동 → 사이트콘텐츠 → 모든 페이지)에 가면 기본적인 페이지 관련 항목들이 포맷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를 확인할 때는 아래 이미지처럼 플랫표 활용이 한눈에 확인하기 쉽다.
맞춤보고서 생성하고 데이터에 들어가보니 / (블로그 홈페이지) /?page=1 (첫 페이지) 이고 /27페이지는 맞춤보고서 탐색기 유형만들기로 최근에 올라간 GA분석 내용
이제 두번째 문제인 GA페이지 중 가장 많이 확인한 페이지를 찾아야하는데 일일이 읽는 게 아닌 고급 클릭해 서치하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총 10개의 GA 키워드가 포함된 페이지 제목이 나오고, 페이지 뷰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확인하면 현재 내 블로그에서 "GA캠페인 유지 기간과 변경의 이유, 기간이 갖는 의미" 페이지가 가장 페이지 뷰 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페이지 뷰 수를 볼 수 있지만 "평균 페이지에 머문 시간"을 통해 유입 고객이 얼마나 해당 콘텐츠에 관심을 가졌는지 이탈률과 종료율을 따져가며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7 의 페이지 뷰 수는 가장 높지만 고객들이 30초 내지의 짧은 시간만 머물렀고, /29 "GA 맞춤보고서 방문자 분포 분석 예시와 방법"에서 2분이 넘는 시간을 소요해 내가 올린 콘텐츠에 관심이 높은 고객이 유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제품 별 전자상거래 성과 분석1
(1) 제품 상세가 가장 많이 조회된 상품은 무엇인가?
(2) 결제 시도가 가장 많이 된 상품은 무엇인가?
앞서 페이지 분석과 마찬가지로 어떤 항목을 사용할 지 알아보고 싶다면 (전환 → 전자상거래 → 제품실적) 보고서에 있는 항목들을 참조해서 만들면 된다. 블로그에는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구글 데모 사이트에 들어가서 항목들을 확인해 보았다.
측정 기준 : 상품, 상품 카테고리, 상품 SKU
측정 항목 : 상품 수익, 수량, 순 구매수
구글 데모에 입력을 해보았을 때 이런 데이터가 나오는데 결국 제품 상세와 결제 시도가 가장 많이 된 상품은 알 수 없다. 수익, 수량, 순 구매 수일 뿐
그럴 때는 제품 실적, 탐색에 있는 '쇼핑 행동'에 들어가면 다른 기준의 항목들이 나온다.
측정 기준 : 상품, 상품 카테고리(이커머스에 따라 넣을 지 뺄 지 고민), 상품 SKU
++ 제품 세부정보 보기, 제품 결제 횟수 (추가)
측정 항목 : 상품 수익, 수량, 순 구매수
그렇게 되면 상품 → 상품 SKU값까지 도출이 가능하다.
#3 제품 별 전자상거래 성과 분석2
(1) 가장 많은 수익이 발생한 제품은 무엇인가?
(2)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의 상품 코드는 무엇인가?
측정 기준 : 상품, 상품 카테고리(필요하다면), 상품 SKU
측정 항목 : 상품 수익, 수량, 순 구매수
맞춤보고서는 기본적으로 Dimension과 Metrics의 Scope이 동일해야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 기본보고서를 보면서 dimension과 metrics를 맞춰야 한다.
Dimension | Metrics |
소스/매체 | 세션/ 평균 세션 시간 / 이탈률 / 거수 / 전자상거래 전환율... |
방문 페이지 | |
페이지 / 페이지 제목 | 페이지뷰 / 순페이지뷰 |
이벤트 카테고리 / 액션 / 라벨 | 총 이벤트 수 / 순 이벤트 수 |
상품명 / SKU / 브랜드 / 카테고리 | 상품 수익 / 순 구매수 / 수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