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 마케팅 플랫폼 구성 : optimize 360, tag manager, data studio
구글 애즈, 서치 애드 360, Display&video 360 : 구글의 광고 플랫폼
구글 빅 쿼리 (GA3무료 버전 x, GA4버전 연동 가능)
Optimize 360 : 무료버전 (A/B테스트 통해 개인화 할 수 있는 툴)
ex) 네이버를 통해 들어온 고객들에게는 이런 페이지와 텍스트, 이미지 등 테스트 안을 만들 수 있다.
페이스북을 통해 들어온 고객들, 특정 키워드, 연령대, 성별로 개인화된 콘텐츠 안을 보여주는 것
태그 매니저 : 사이트에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들
-> 태그들을 매니징할 수 있는 툴 : 클릭들을 잡을 수 있는 이벤트 태깅도 가능하고,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들 값들을 구글로 잡아서 보낼 수 있다. = 태그를 단다고 이야기
-> 소스를 열지 않고도 스크립트들을 웹사이트에 심을 수 있다. (실제로 심지는 않지만 가상으로 태그 매니저에서 컨트롤 가능) 그래서 GA를 위해서 쓴다기보다 우리 웹사이트를 원격으로 컨트롤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툴
GA의 분석 경쟁사들도 GA를 많이 쓴다
페이스북의 픽셀할 때 태그매니저를 쓰는 경우 多
광고/홍보대행사 태그매니저 많이 쓴다 :
왜? 원격에서 무언가 컨트롤할 때 소스에 무언가 삽입하는 등 매니징 할 수 있는 툴이기 때문이다. 꼭 GA전용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 다양한 목적에서 태그매니저를 사용한다.
Data Studio : 시각화 툴
GA도 많은 보고서들이 있는데 대부분 테이블, 트렌드 차트로 나타난다.
하지만 회사의 톤&매너에 맞게 꾸며주는 툴이 데이터 스튜디오
GA, spread sheet와 연동 가능, 목적에 맞게 다양한 차트, 테이블들을 만들어줌
구글 툴들이 아닌 다른 경쟁사들과도 연동 가능
- GA 360 잠재고객을 활용한 리타겟팅 광고 집행
-> 구글 애널리틱스의 고객 시나리오를 분석해서 (진성고객 = high level customer) 중에 전환을 일으킬만한 고객들을 그룹화하여 사람들에게 리타겟팅을 하게 되면 그냥 하는 것보다 전환율이 높아진다.
-> GA 데이터를 기반으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 전환 목표 및 잠재고객 대상 A/B테스트 진행
-> GA 기반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A/B테스트 가능
- 자동화 시각화 대시보드 구성
- 제한 없는 태그 구성
-> 개발 지식도 있으면 좋다. (스크립트, 함수 등) 특정 웹페이지에 있는 값을 수집하려면 말이다.
- 온라인 행동 데이터와 자사 CRM데이터와의 결합 분석
-> raw data를 만질 수 있으면 GA에 있는 데이터를 빅쿼리로 내려받아 어떠한 클라우드 환경에 대해 구성하면 CRM데이터를 같이 결합해 분석 가능하다